카테고리 없음

소득인정액 계산 방법 (+모의계산)

♩♪♩♪ 2022. 7. 17.

소득인정액 계산 방법 (+모의 계산)

소득인정액

우리나라는  다양한 복지 급여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대부분의 복지 급여는 가구 소득인정액을 만족해야 수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도마다 계산 방식이 다르고 소득인정액도 다르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게 아는 사람은 드문데요, 이에 아래에서 소득인정액 계산 방법 및 모의 계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 목차 -


    1. 소득인정액 정의

    소득인정액은 소득과는 전혀 다른 말인데요, 먼저 소득인정액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 필요가 있습니다.

    가구 소득인정액은 가구 구성원 모두가 번 소득을 월 단위로 평가하고, 재산도 소득으로 환산하여 합친 금액을 말합니다. 즉, '모든 가구원의 소득 + 재산 환산액 = 가구 소득인정액'이라는 것이죠.

    또한, 소득에는 근로소득뿐만이 아니라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이자소득 등 모든 소득을 합한 것이란 것도 아셔야 합니다.

     

     

     

    2. 소득인정액 계산 방법 (+ 모의 계산)

    재산의 소득인정액을 계산할 때 재산소득은 크게 일반재산, 금융재산(예금, 적금, 주식 등), 차량 3가지로 구분하고 각각 일부를 공제한 뒤 남은 금액을 월 소득환산율로 곱하여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기초연금의 소득인정액은 일반재산은 공제금액이 많은 대신 환산율은 4.17%, 금융재산은 공제금액이 적은 대신 환산율은 6.26%, 차량은 환산율이 차량 가격의 100%입니다. 그리고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별로 거주지에 따라 공제금액이 달라지는데요, 공제금액은 각각 6,900만 원, 4,200만 원, 3,500만 원입니다.

    만약 소득인정액을 낮추려면 차량을 팔고, 금융재산을 모두 전세 보증금이나 월세 보증금을 높여줘서 보유한 현금을 최대한 없애는 것이 유리하죠.

    하지만 제도별로 산정방법, 공제금액, 환산 방법 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모의 계산을 활용하시면 편하데요, 이는 복지로의 복지서비스 모의 계산 사이트를 이용하시면 좋은데요, 이는 정부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이므로 가장 정확한 계상 방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 마치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구 소득인정액 계산 방법 및 모의 계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조금 도움이 되셨나요? 그럼 저는 다음에 또 다른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더 많은 정보가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다른 글을 참고하세요.)